yt-dlp -S vcodec:h264,res:1080,acodec:aac "URL"
xclip -sel clip
1. Model에 데이터 받을 객체 주입 시킨다 2. thymeleaf로 꾸미고 Post로 서버에 데이터 보낸다 3. Post 객체에서 ModelAttribute로 받는다 대충 요약해서 적었지만 나 자신 이해했을거라 믿는다. 보충설명 (출처) https://velog.io/@kim-ju-ho/SpringBoot-thymeleaf-form-%EC%82%AC%EC%9A%A9 [SpringBoot] thymeleaf form 사용 thymeleaf를 공부하는 중에 form태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고민하고 검색하여 해결했던 내용을 기록한것 입니다. velog.io
1. DTO 클래스 생성하고 이악물고 setter 안 열고 생성자 주입 방식으로 구현하려고 시도한것. 예전에 김영한님 스프링 강의 수강하면서 "setter는 절대로 열면 안된다" 라는 말이 계속 맴돌아 생성자로 어떻게는 구현하려고 고집이 아닌 고집을 부리게 되었다. 결과적으론 내 고집이 크나큰 삽질이였고 나는 해답을 찾기 위해 열심히 검색을 하고 또 검색을 했다... 그렇게 한참 검색을 하던 와중에 인프런 QnA에서 DTO는 setter를 꼭 열어야 하냐는 질문을 발견했다. 답변에 영한님이 setter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고 하셨다. 그렇지만 DTO 경우는 어떤 로직이 있는게 아니라서 단순 데이터 전달이라 자유롭게 사용해도 된다는 답변이였다. 정리하자면 DTO는 로직 자체가 없고 단순 데이터 전..